2020년 주식해서 돈 잃었으면 주식하시면 안됩니다.
대학생 시절부터 주식투자를 시작하였지만, 2020년도는 시장이 정말 좋았기 때문에 저 또한 저의 연봉을 뛰어넘는 큰 수익을 볼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당시에는 저의 실력이 좋아서 큰 수익을 봤다고 생각했었고 2021년이 되자 2019년만큼의 주식수익이 나오지 않았고 그 때서야 '아.. 난 그저 타이밍이 좋았던 개미에 불가하구나'라고 깨닫게 되었습니다.
주식의 적정가치는 어떻게 구할 수 있을까?
부동산은 입지나 주변 주택의 거래시세, 호재 등을 따져 가격을 산정,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싼지, 저렴한지 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식의 적정가치는 어떻게 구해야할까요?
그건 바로 공시되어있는 주식회사의 자본과 이익을 계산하여 구하시면 됩니다. 주식을 하면서 다들 계좌에 파란불이 들어와 해당 주식을 오래도록 팔지도 못하고 물타기를 하며 수익권에 올 때까지 버틴 경험이 있으실겁니다. 또 본전이 오면 다시 떨어질까봐 본전에 매도하고 주식가격은 엄청 오르는 경험도 하셨을겁니다. 어떻게 아냐구요? 저 또한 그런 경험을 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사람들은 주식고수에게서 물고기를 던져주길 원하지 낚시방법을 원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주식공부하는 것이 귀찮기 때문입니다. 저 또한 그랬습니다.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것이 아닌 차트를 보고 주식을 했었기에 손절해야하는 종목은 손잘하지 못했고 익절해야할 종목은 기다리지 못했습니다. 그렇다면 슈퍼개미 김정환님은 어떻게 주가 및 시총의 적정가치를 구하실까요?
EPS * ROE * 100 = 적정주가
EPS는 BPS와 ROE를 곱한 것으로 주식수당 순이익을 의미합니다. 가령 100만원의 순이익을 낸 기업이 주식수가 100개라면 EPS는 10000원 인 것 입니다.
BPS는 자기자본(bookvalue)을 주식수(shares)로 나눈 것으로 주당순자산가치를 의미합니다. 가령 위의
회사가 200만원 자기자본을 가진 회사이고 주식수가 100개라면 주당순자산가치는 2만원입니다. 주당순가치가 2만원이기에 주가가 2만원보다 낮다면 이 주식은 더 떨어질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볼 수 있습니다.
ROE는 순이익(return)을 자기자본(equity=bookvalue)으로 나눈 것으로 자기자본이익률을 의미합니다. 자신의 자본을 이용하여 얼마만큼의 수익을 냈는지 알 수 있는 지표로 회사의 성장을 가늠해볼 수 있는 지표입니다. 참고로 워렌버핏은 ROE가 20%이상인 곳에 투자하며 3년 이상 ROE가 15%인 회사에 투자한다고 하니 ROE가 15%이상이면 좋은 회사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자기자본이 많이 필요한 철강업, 자동차산업, 조선업 등은 멀티플을 낮게 받지만 자기자본보다 인적자본과 기술로 큰 수익을 낼 수 있는 게임산업, 엔터산업, 언택트 사업 등은 높은 멀티플을 받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또한 ROE와 비슷한 개념으로 ROA도 있는데 ROA는 분모에 자본총액이 아닌 부채를 포함한 자산총액이 들어가게 됩니다. 부채로 레버리지를 크게 이용하면 ROE가 가치보다 높게 산출될 수 있기에 ROA값과 ROE의 값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겠습니다.
하지만 주식에 있어 주가보다는 회사의 시총이 더 중요하기 때문에 적정시총을 구하는 방법이 더 주효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영업이익 or 당기순이익) * ROE * 100 = 적정 시가총액
참고로 ROE는 기업재무정보를 보시면 한 눈에 확인이
가능하시기 때문에 네이버에 해당 기업을 검색하시면 ROE를 바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제가 현재 투자하고 있는 기업인 엑세스바이오에 위 공식을 대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엑세스바이오는 말라리아 진단키트로는 이미 세계 1위이며 이번 코로나19 바이러스 신속항원키트를 대량으로 생산해내는 미국에 본사를 둔 코스닥 상장기업입니다. 현재 오미크론 확산으로 인해 매출액이 급증할 것이라고 예상되고 있는 종목으로 2020년 기준 엑세스바이오의 적정예상 시총은 4조에
달합니다. 하지만 현재는 고작 5900억 가량의 시총을 보이고 있어 저평가됨을 알 수 있고 이로 인해 저는 엑세스바이오를 추가매수 합니다.
비슷한 대기업인 씨젠은 어떨까요? 적정예상 시총 3조2천억으로 현재 시총 3조원과 비슷해 적정주가를 이루고 있다고 판단되어집니다.
물론 위의 것들 말고도 주식을 판단할 때 고려할 것들이 정말 많습니다. 슈퍼개미 김정환님은 아래 사진과 같은 것들도 고려하신다고 합니다.
저 또한 주린이로서 앞으로 주식책도 읽어보고 강의도 들으며 주식능력의 기초부터 탄탄히 쌓아올려볼까합니다. 공부한 것을 정리하여 쉽게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제가 할테니 자주 들려 함께 성장해주세요. 그리고 함께 부자됩시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경제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무제표를 읽어라! 3부-2 손익계산서편 , 삼프로tv (0) | 2022.07.13 |
---|---|
재무제표를 읽어라! 3부-1(재무상태표의 부채, 자본), 삼프로tv (0) | 2022.07.12 |
재무제표를 볼 때 꼭 확인해야할 것들 삼프로tv 2부 (0) | 2022.07.12 |
재무제표도 모르면서 투자를 한다고?! 삼프로TV 1부 요약 (0) | 2022.07.12 |
삼성전자는 알겠는데 삼성전자우는 뭘까? 본주 vs 우선주 (0) | 2022.01.06 |